
2025년 봄, 경남 산청과 하동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단순한 재해를 넘어
여러 인명의 희생과 지역사회의 충격으로 남았습니다.
특히 산불 진화 중 목숨을 잃은 분들의 유족 보상 문제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죠.
이번 글에서는 산불 진화 중 순직하신 분들의 유족이 받는 보상 제도를 중심으로,
✔ 일반 계약직 산불 진화대원 유족이 받는 지원
✔ 정규직 공무원 순직 시 제공되는 유족연금
이 두 가지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.

📌 1. 산불 순직 유족이 받는 보상은 누가, 어떻게 지급하나?
산불 진화작업에는 정규직 공무원뿐 아니라
기간제 진화대원, 의용소방대원, 군인, 민간인 등이 참여합니다.
이때 사망자 신분에 따라 적용되는 보상 체계가 완전히 달라집니다.
공무원 (정규직) | 공무원연금공단 | 순직 유족연금, 유족보상금 |
진화대 계약직/의용소방 등 | 지자체/산림청 | 재해보상금, 일시적 연금, 특별 위로금 등 |
📌 2. 공무원 유족연금: ‘법적 연금체계에 의한 정기지급’
공무원이 직무수행 중 순직할 경우, 유족은 다음과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공무원 유족 보상 체계
- 순직유족연금: 기준소득월액의 38% + 유족 수에 따라 추가 지급
- 유족보상금(일시금): 마지막 보수월액의 36배
- 의료·교육지원: 자녀 학자금, 의료지원 등 포함
💡 장점: 연금 형식으로 매달 안정적 지급, 복지 혜택 포함

📌 3. 산불 진화대원 유족 보상: 단발성 혹은 미흡한 수준
진화작업 중 사망한 계약직 산불 진화대원이나 의용소방대원은
정규직 공무원이 아니므로, 공무원연금 대상이 아닙니다.
✅ 지자체 보상 예시
- 재해보상금: 유족에게 일시적으로 지급
- 산림청 특별 위로금 또는 추가 보상금 (사망 원인이 명확한 경우)
- 연금형 지급은 거의 없음
💡 단점: 정기적 연금 구조가 아닌 일회성 지급, 지역·예산에 따라 편차 큼
📌 4. 제도적 차이는 어디서 발생할까?
법적 근거 | 공무원연금법 | 산림청 지침, 지방조례 등 |
지급 방식 | 매월 연금 + 일시금 | 대부분 일시금 위주 |
보장 수준 | 높은 연금 + 복지혜택 | 제한적, 지역 예산 따라 다름 |
유족 생활 안정성 | 높음 | 상대적으로 낮음 |
📌 5. 유족 입장에서의 현실은?
같은 산불 현장에서,
같은 불길을 진화하다가 돌아가신 분들이지만
그 유족이 받는 경제적·제도적 차이는 매우 큽니다.
💬 “같은 생명을 걸고 일한 것인데, 신분 차이로 보상이 다르다는 게 맞을까?”
이런 물음이 국민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고, 제도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
✅ 제도적 평등을 향한 사회적 고민이 필요할 때
산불은 점점 대형화되고,
산림을 지키는 사람들의 위험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
🧑🚒 공무원이든, 계약직이든, 현장에서 생명을 바친 분들에 대한 보상은 차별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?
그 시작은 제도에 대한 이해와 국민적 관심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