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되면서
보험료율이 현재 9%에서 2029년까지 13%까지 단계적으로 인상되게 되었습니다.
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바로 이것!
❗ 내 월급에서 실제로 얼마나 더 빠져나가는 걸까?
오늘은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이 월 소득별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
✔ 근로자 기준
✔ 자영업자 기준
✔ 실제 수령액 변화까지
수치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.
연도 | 보험료율 | 근로자 부담률 | 자영업자 부담률 |
---|---|---|---|
2025년까지 | 9% | 4.5% | 9% |
2026년 | 10% | 5% | 10% |
2027년 | 11% | 5.5% | 11% |
2028년 | 12% | 6% | 12% |
2029년 이후 | 13% | 6.5% | 13% |
📊 월급별 납입액 변화 예시
소득별로 얼마나 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?
200만 원 | 18만 원 (9만 원+9만 원) | 26만 원 (13만 원+13만 원) | 8만 원↑ |
300만 원 | 27만 원 | 39만 원 | 12만 원↑ |
400만 원 | 36만 원 | 52만 원 | 16만 원↑ |
500만 원 | 45만 원 | 65만 원 | 20만 원↑ |
✔ 근로자는 사업주와 50:50 부담
✔ 자영업자는 전액 본인이 부담
❓ 사람들이 많이 묻는 Q&A
Q1. 보험료는 올라가는데 연금 수령액도 같이 오르나요?
➡️ 맞습니다.
2028년부터 소득대체율이 40% → 43%로 인상됩니다.
같은 보험료를 내더라도 더 많이 받는 구조로 설계된 것이 이번 개편 핵심입니다.
Q2. 나는 자영업자인데, 보험료율이 올라가면 너무 부담 아닐까요?
➡️ 맞습니다, 실질 부담 큽니다.
자영업자는 사업주가 없으니 13% 전액 본인 부담
→ 매월 소득 400만 원이면 52만 원을 스스로 납부하게 됩니다.
정부는 자영업자 납입 유예·지원 제도를 검토 중이니 추후 확인 필수입니다.
Q3. 이렇게 많이 내면, 연금 고갈 걱정은 없어지는 건가요?
➡️ 완전히 없어지진 않지만 기금 고갈 시점을 지연시키는 효과는 있습니다.
현행 제도 유지 시 고갈 시점이 2055년 → 2070년대까지 연장 가능으로 추정됩니다.
💬 현실적인 조언
- 소득 대비 연금 납입률이 점차 늘어나는 구조이므로,
개인 재무 설계에서 연금 외의 자산 운용도 필요합니다. - 특히 자영업자, 프리랜서는 국민연금만 의존하긴 어렵기 때문에
개인연금, 퇴직연금 등을 함께 고려하세요.